국어국문(8)
-
옥낭자전(옥랑전) 줄거리와 작품군 형성의 의미
옥낭자전(옥랑자전) 줄거리와 작품군 형성의 의미 옥낭자전의 작품군의 형성에 대한 의미를 파악할 때에는 서사성을 중심으로 작품군에 속하는 개별 작품의 상대적 성격을 파악하고, 창작 배경,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옥낭자전.... 이와 비슷한 계열의 작품으로는 김부인열행가 그리고 곽씨전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다. 옥낭자전의 경우에는 우선 남녀 주인공이 비범하면서도 윤리적인 것이 드러난다. 이는 일대기적 구조의 성격 중심으로 창작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이와 비슷한 곽씨전이나 김부인열행가의 경우에는 옥낭자전에 비해 열에 대한 숭고를 다소 약하게 표현됐다거나 소설과 다른 표현 방식을 활용한 것이 특징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정서적 몰입을 유도하고, 열행의 감화를 노리는 작가의 창작의도를 파..
2020.08.03 -
고려속가의 특징과 성격
고려속가의 특징과 성격 고려 속가 고려시대 궁중 속악에 쓰인 우리말 노래와 한역시가를 총칭. 현전하는 고려 속가는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에 있는 우리말 노려 14편이 있다. 한역노래로 17편이 존재하기도 한다. 명칭 ① 고려가사, 고려가요, 속악가사, 속가 -> 고려 궁중의 속악 가사였기 때문 고려가요, 고려가사라고 하기엔 고려시대 여러 갈래의 노래를 포괄하는 개념이기에 세부적인 것(청산별곡)을 대표하기는 무리가 있다. ② 장가 -> 속가는 유형적 명칭이 될 수 없다는 견해. 속가는 특성을 좇아 관념적으로 부르는 것. 고로 명칭이 될 수 없다. 시가를 타 시가와 구별하기 위해 장가라고 부르자. 청산별곡류를 장가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 , 등은 단가에 가깝다. 을 장가라고 하는 경우도 많아 ..
2020.07.03 -
구지봉, 구지가의 특징
구지봉, 구지가의 특징 고대 시가는 현대까지 겨우 세 작품 전해진다. 그 중 한 작품이 구지가이고, 구지가는 경상남도 김해시에 있는 구지봉에 많은 기록이 남겨져 있다. 구지봉은 김해시에 있는 작은 봉우리이다. 구지봉까지의 길은 어렵지 않았다. 현대 교통의 발달로 전철, 버스를 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 간편하게 갈 수 있었다. 도심에서 별로 멀지 않았고, 역에서의 거리도 가까운 편에 속했다. 도심 속에 있는 이 봉우리는 주변에 여러 유적지, 박물관 등이 근처에 있다. 그래서 더 역사적 의미를 더해준다. 봉우리의 모양새는 마치 거북이가 엎드린 형상과 같다. 그래서 붙여진 게 ‘구지’일 것이다. 구지가를 보는 견해는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첫 째로는, ‘구지’가 다산의 의미를 나타낸다는 견해이다. 이 견해는 ..
2020.06.27 -
고려속가의 명칭과 특징
고려속가의 명칭과 특징 고려 속가 고려시대 궁중 속악에 쓰인 우리말 노래와 한역시가를 총칭. 현전하는 고려 속가는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에 있는 우리말 노려 14편이 있다. 한역노래로 17편이 존재하기도 한다. 명칭 ① 고려가사, 고려가요, 속악가사, 속가 └>고려 궁중의 속악 가사였기 때문 고려가요, 고려가사라고 하기엔 고려시대 여러 갈래의 노래를 포괄하는 개념이기에 세부적인 것(청산별곡)을 대표하기는 무리가 있다. ② 장가 속가는 유형적 명칭이 될 수 없다는 견해. 속가는 특성을 좇아 관념적으로 부르는 것. 고로 명칭이 될 수 없다. 시가를 타 시가와 구별하기 위해 장가라고 부르자. 청산별곡류를 장가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 , 등은 단가에 가깝다. 을 장가라고 하는 경우도 많아 장가는 ..
2020.06.25 -
우리나라의 시대별 묘제
우리나라의 시대별 묘제 김해 양동리 고분군은 일찍부터 김해지역 중심고분유적의 하나로 주목받은 곳으로서 1984년 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처음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이래, 1990∼1996년간 동의대학교 박물관에 의하여 4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지역에서 목관묘, 목곽묘, 석곽묘, 옹관묘 등 548기의 유구와 토기와 청동기, 철기 등 5,100여점에 이르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확인된 유구는 묘제의 변천과정과 연대 규명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자료이며, 출토된 각종 유물은 시기별 가야문화의 실상과 변화상을 한 눈에 보여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연구에서 부족했던 많은 자료를 보완하여 국제성을 띤 가야문화의 세련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발굴성과를 통하여 가야사회의 문화와 국가·사회..
2020.06.20 -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의 형성방식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의 형성방식 통사적 합성어는 그것을 구성하는 어근들이 결합되는 방식이 국어의 통사적인 짜임새와 같은 합성어이다. 달리 말해서 통사적 합성어는 문장 속에서 문장 성분들이 결합하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어근이 결합된 합성어이다. 땅콩, 첫눈, 늙은이, 빛나다, 짊어지다, 지진 등은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로 굳은 통사적인 합성어의 예다. 여기서 어근이 결합하는 방식은 구가 구성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순서대로 , , , , 로 합성어가 이루어지고, 지진의 경우에는 ‘땅이 떨다’와 같이 국어의 어순에 맞게 합성어가 구성되었으므로 통사적 합성어이다. 비통사적 합성어는 국어의 통사적인 구성방식에 맞지 않는 방식으로 어근이 결합된 합성어이다. 곧 비통사적 합성어는 그 합성어..
2020.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