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학과(2)
-
고려속가의 특징과 성격
고려속가의 특징과 성격 고려 속가 고려시대 궁중 속악에 쓰인 우리말 노래와 한역시가를 총칭. 현전하는 고려 속가는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에 있는 우리말 노려 14편이 있다. 한역노래로 17편이 존재하기도 한다. 명칭 ① 고려가사, 고려가요, 속악가사, 속가 -> 고려 궁중의 속악 가사였기 때문 고려가요, 고려가사라고 하기엔 고려시대 여러 갈래의 노래를 포괄하는 개념이기에 세부적인 것(청산별곡)을 대표하기는 무리가 있다. ② 장가 -> 속가는 유형적 명칭이 될 수 없다는 견해. 속가는 특성을 좇아 관념적으로 부르는 것. 고로 명칭이 될 수 없다. 시가를 타 시가와 구별하기 위해 장가라고 부르자. 청산별곡류를 장가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 , 등은 단가에 가깝다. 을 장가라고 하는 경우도 많아 ..
2020.07.03 -
우리나라의 시대별 묘제
우리나라의 시대별 묘제 김해 양동리 고분군은 일찍부터 김해지역 중심고분유적의 하나로 주목받은 곳으로서 1984년 문화재연구소에 의해 처음으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이래, 1990∼1996년간 동의대학교 박물관에 의하여 4차에 걸친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지역에서 목관묘, 목곽묘, 석곽묘, 옹관묘 등 548기의 유구와 토기와 청동기, 철기 등 5,100여점에 이르는 유물이 출토되었다. 확인된 유구는 묘제의 변천과정과 연대 규명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자료이며, 출토된 각종 유물은 시기별 가야문화의 실상과 변화상을 한 눈에 보여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연구에서 부족했던 많은 자료를 보완하여 국제성을 띤 가야문화의 세련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러한 발굴성과를 통하여 가야사회의 문화와 국가·사회..
202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