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가의 명칭과 특징

2020. 6. 25. 12:31과제/문학

고려속가의 명칭과 특징


고려 속가

고려시대 궁중  속악에 쓰인 우리말 노래와 한역시가를 총칭. 현전하는 고려 속가는 악학궤범, 악장가사, 시용향악보에 있는 우리말 노려 14편이 있다. 한역노래로 17편이 존재하기도 한다.


명칭

① 고려가사, 고려가요, 속악가사, 속가

>고려 궁중의 속악 가사였기 때문


고려가요, 고려가사라고 하기엔 고려시대 여러 갈래의 노래를 포괄하는 개념이기에 세부적인 것(청산별곡)을 대표하기는 무리가 있다.


본 글과 관련없는 사진입니다.





② 장가

속가는 유형적 명칭이 될 수 없다는 견해. 속가는 특성을 좇아 관념적으로 부르는 것. 고로 명칭이 될 수 없다. 시가를 타 시가와 구별하기 위해 장가라고 부르자.


청산별곡류를 장가라고 보기엔 무리가 있다. <가시리>, <사모곡>, <정과정> 등은 단가에 가깝다. <한림별곡>을 장가라고 하는 경우도 많아 장가는 분별력이 약하다.


③ 별곡

<서경별곡>, <청산별곡>이 있지만 경기체가인 <한림별곡>이 더 일반화 되어있어 명칭 사용에 있어 작품명을 장르명으로 사용하기에는 비약이 있다.


④ 고속요·속요

원래 민요였으므로 속가보다는 속요가 가깝다. 앞의 고려라고 붙이는 것 보다는 오래된 노래의 뜻으로 古고속요가 적합하다.


속요는 민간에 떠도는 반주 없는 노래인데, 궁중 속가는 반주가 있고 개인 창작도 있어 비속하지도 않은 내용도 있다. 고로 적합하지 않다.

'과제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보사찰, 3대사찰, 통도사, 해인사, 송광사  (0) 2020.06.27
구지봉, 구지가의 특징  (0) 2020.06.27
우리나라의 시대별 묘제  (0) 2020.06.20
가야 토기의 특징  (0) 2020.06.19
우리나라 신화와 민담  (0) 2020.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