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낭자전(옥랑전) 줄거리와 작품군 형성의 의미

2020. 8. 3. 20:08과제/문학

옥낭자전(옥랑자전) 줄거리와 작품군 형성의 의미

 

옥낭자전의 작품군의 형성에 대한 의미를 파악할 때에는 서사성을 중심으로 작품군에 속하는 개별 작품의 상대적 성격을 파악하고, 창작 배경, 그 의미를 이해하는 게 중요하다. 옥낭자전.... 이와 비슷한 계열의 작품으로는 김부인열행가 그리고 곽씨전 등을 예로 들 수 있겠다.  



옥낭자전의 경우에는 우선 남녀 주인공이 비범하면서도 윤리적인 것이 드러난다. 이는 일대기적 구조의 성격 중심으로 창작되었다는 것을 증명해준다.

 

이와 비슷한 곽씨전이나 김부인열행가의 경우에는 옥낭자전에 비해 열에 대한 숭고를 다소 약하게 표현됐다거나 소설과 다른 표현 방식을 활용한 것이 특징으로 비춰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정서적 몰입을 유도하고, 열행의 감화를 노리는 작가의 창작의도를 파악할 수 있게끔 도와준다.

 

다시 돌아가서 옥낭자전의 이 같은 부분은 독자 스스로 열행에 대한 사회적 인식, 긍·부정적 요소에 대한 인식을 일깨우게 해준다. 일각에서는 작품군에 대한 열행의 인식변화를 일정한 입장으로 보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울러 이들은 작자층과 독자층을 고려하여 문제 제기를 하고, 또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품군 형성을 이해할 수 있다고도 한다.



한편 김부인열행가와 곽씨전의 경우에는 작자층이 특정 가문에 대한 찬양 또는 가문의 자랑을 만들기 위함이었다는 주장도 보이지만 옥낭자전의 경우에는 이와 다소 차이를 보인다.

 

이런 측면에서 곽씨전과 옥낭자전을 비교하였을 때 앞서 언급한 이들의 주장은 ①작자층이 상층 여성과 상층 남성인 것②옥낭자전이 현실성이 없는 도덕소설인 것, ③김부인열행가의 경우 특정 가문과 밀접하다는 것 등이다. 이는 열행의 관념을 어느정도 증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은 작품군에 대한 파악을 우수하게 하였다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줄거리-



①함경도 고원땅에 사는 청년 이시업은 영흥지방에 사는 김좌수 딸 옥랑과 혼약을 한다.

②이후 신행을 가는 도중, 영흥지방에 사는 토호 행차와 마주치게 된다.

③토호는 시업이 하마(말에서 내림)하지 않는다하여 시업을 구타하라고 지시, 결국 이들 하인들사이에서 싸움이 나 토호의 하인 하나가 죽게 된다.

④이런 이유로 시업은 살인죄로 투옥되고 신부 옥랑은 이 같은 소식을 듣고 시업 대신 죽기를 결심한다.

⑤옥랑은 남복을 하고 감옥을 찾아가, 본인이 시업을 만나 신부가 될 사람임을 시업에게 밝힌다.

⑥본인이 대신 시업의 형벌을 받겠다고 간청, 시업에게는 나아가서 시가(媤家)를 상속하여 효도를 다하라고 권유한다.

⑦처음에는 시업이 거절했으나 옥랑이 말을 따르지 않는다면 자결하겠다는 말을 꺼내자 시업은 마지못해 허락했다.

⑧서로의 옷을 바꿔입고 시업은 옥문을 빠져나오게 된다. 

⑨영흥부사는 죄인이 바뀐 것을 알고 크게 노하여 옥랑을 문초하니 옥랑이 사실대로 자백한다.

⑩그러나 부사는 옥랑의 절의에 감동해 이런 사실을 상부에 보고한다.

⑪상감은옥랑의 열행을 칭찬하고
죄를 사해준다.

⑫이후 옥랑에게는 정렬부인을, 시업에게는 사반당상을 제수하게 된다.

⑬이들은 이후 귀가하여 혼례를 올리고 시업은 과거에 급제, 벼슬길에 오르게 된다.

 

참고- 옥낭자전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로 여주인공 옥랑(玉娘)의 열행(烈行)을 그린 윤리소설이다.

'과제 >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포유일정 줄거리와 컨텐츠 활용 방안  (0) 2020.08.07
박노해 노동의 새벽을 읽고...  (0) 2020.08.04
최치원의 탄생 설화  (0) 2020.07.10
경주 최씨의 유래  (0) 2020.07.09
고려속가의 특징과 성격  (0) 2020.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