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정보

논술쓰는 방법과 작성 요령-기초편

2020. 8. 11.

논술쓰는 방법과 작성 요령-기초편

 

대입부터 취업까지. 논술은 빠지는 데가 없습니다. 물론 다방면으로 실력발휘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만, 해당 과정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논술입니다. 이 때문에 글쓰기에 대한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습니다.

 

논술이라는 것 자체가 생각을 정리하고 논리정연하게 표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잘 쓰는 연습을 하는 것도 일상 생활에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특히 논술은 말하기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논리적인 글쓰기를 하며 익힌 어휘, 구조 등을 활용해 말한다면 보다 설득력 있는 전달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현대인들은 장문의 글을 쓰는 것이 참 어렵다고 합니다. 이에 대한 이유로는 '댓글'의 힘이 참 큰데요. 현대인의 명과 암의 대표격인 댓글. 이 공간은 장문의 글은 적기 힘든 곳인데다가, 이용자 역시 가볍게 쓰고 마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렇지 않을까 합니다.

 

주로 댓글 외에는 글을 쓸 일이 없는 분들에게는 장문의 글을 쓸 기회가 없으며, 이 같은 결과가 쌓이면서 점점 글쓰기가 어렵게 다가오는 것이지요.

 

이처럼 글쓰기를 하지 않으면 실력은 퇴화합니다. 운동을 하면 근육이 늘듯, 글을 많이 쓰면 '글쓰는 근육(?)'이 커지게 되는데요. 그래서 다독, 다작이 중요한 것입니다.

 

지금부터는 글쓰기를 할 때 어떻게 쓰는 것이 좋은지에 대한 내용을 알아볼 것인데요. 주요 골자로 글쓰기 기초방법과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기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두괄식으로 써라


 

지금 저처럼 장문장으로 글을 쓸 때도 있고 단문장으로 글을 쓰는 방식도 있습니다. (단문치기) 각 장단점이 있으며 활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무엇이 옳다고 말하기는 어려우나, 이들의 공통점은 있습니다.

 

바로 서두에 핵심이 온다는 것인데요. 예컨대 여러분이 신문기사를 읽는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기사를 읽을 때 가장 먼저 제목을 볼 것입니다. 그 후 리드문을 보고, 구미가 당긴다면 계속 읽겠죠.

 

이 말은 핵심을 가장 앞에 담아야한다는 것입니다. 논술에서도 마찬가지인데요. '내가 독자라면'하는 생각을 하며 글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당장 저만 하더라도 앞부분이 재미 없으면 뒤는 읽지 않으니까 말이에요.

 

뒷부분은 쳐버려도 괜찮은 것을 씁니다. 생략해도 좋을... 부가적으로 덧붙이는 내용이 좋습니다. 실제 기자들이 기사를 데스킹받을 때, 뒷부분이 사라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 지면 신문 공간이 부족하다면 기사 송고된 이후에도 마지막 부분이 수정되기도 합니다. 

 

그러나 무조건 두괄식으로만 써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감동과 반전이 필요한 문학 작품에는 미괄식 표현이 있습니다. 분명 독자로 하여금 숭고를 전달해야할 때가 있으니 말입니다.

 

문학과 논술은 그러나 다릅니다. 이를 이해하고 글쓰기에 임하시면 되겠습니다.

 

 

 

중복표현은 피해라


 

글을 쓸 때, 같은 표현을 하면 글이 조금 더러워집니다. 문장도 길어지고 매끄럽지 못하게 됩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예를 들어 ABC회사의 홍길동 사장을 언급한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최초 언급시에는 모든 내용을 써줍니다. '홍길동 ABC사장은 ~'와 같은 형식으로 써야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후 표현에는 달리 써야할 것입니다.

 

 

그대로 길게 적으면 어떨까요? 아마 문장도 길어지고 깔끔하지 못할 것입니다. 그래서 성씨만 떼어 써주도록 합시다. '홍 사장'과 같이 말입니다. 아마 잘 찾아보면 이와 비슷한 절차가 여러개 있을 것입니다. 

 

또 같은 단어는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같거나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들을 활용해야 합니다. 동일 단어를 연속으로 쓰는 것은 삼가해야할 것입니다.

 




 

정확한 표현을 간단하게 쓰세요


 

인터넷을 하다보면 정확하지 않은 표현이 익숙해질 때가 있습니다. 왜 문제가 되는지는 말씀을 드리지 않아도 아실 것입니다. 이처럼 약어와 은어의 활용으로 무엇이 옳은 표현인지 헷갈린다면, 이런 때는 언론사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연합뉴스같은 통신사(뉴스1, 뉴시스) 기사를 참고하는 것이 좋은데요. 연합뉴스는 국가기간 통신사로 가장 적합한 표현을 사용합니다. 아울러 대부분 순 우리말 위주로 쓰고 있지요.

 

예를 들어 SNS의 경우 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아닌 사회적관계망서비스로 표현하는 등 우리 표현을 추구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논술에는 올바른 표현을 간단하게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습할 시, 헷갈린다면 다른 분의 글... (기사 등)을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습니다.

 

 

많이 쓰는 게 답


 

모름지기 글이란 많이 쓰는 것이 답입니다. 많이 써봐야 손에 익고 속도도 빨라지니까요. 처음 쓰신다면 '단문-단문-장문-단문'의 구조로 써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가장 보편적인 글 구조며, 많은 글이 비슷한 유형을 띱니다. 

 

꼭 이 방법을 따르지 않더라도, 본인만의 방법대로 많이 쓰는 것이 좋습니다. 글쓰기의 기본이 다작, 다독이니까요.

 




 

스터디의 명과 암


 

논술과 관련해 스터디를 하는 분이 많은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이도 명과 암이 있는데요. 우선 밝은 쪽을 말하자면, 자신 혼자 고민하는 것이 아닌 타인과 교감하면서 지적 성장을 도울 수 있습니다. 

 

아울러 내 글의 부족한 점. 보완점 및 배워야할 점을 알 수 있습니다. 타인의 말과 글을 참고하며 말이죠.

 

그러나 스터디의 어두운 면도 물론 있습니다. 스터디라고 하면 아마 비슷한 집단의 분들끼리 하는 것이 대부분이라 생각됩니다. 그 말은 배울 수 있는 한계가 명확하다는 것입니다. 

 

배움은 더 넓은 물에서, 더 잘난 사람과 함께 해야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그러나 준거집단에서 비슷한 사람들과 유사한 방법으로 공부한다면 실력향상은 빠르지 못할 것입니다.

 

물론 비슷한 처지의 분들과 스터디하는 것이 틀렸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보다 빠른 성장을 위해서라면 보다 더 아는사람. 배울만한 분과 함께하는 것이 좋다는 것입니다.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밴드